MIRAE ASSET [OTP/모바일OTP] 휴대폰을 바꾸게 되면 모바일OTP도 다시 발급받아야 하나요?
휴대폰 기기 변경 시 새로운 휴대폰에서 기존 모바일OTP 이용은 불가능 합니다.
새 휴대폰 기기에서 다시 발급하신 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MIRAE ASSET [OTP/모바일OTP] 모바일OTP는 어떤 경우에 사용 하나요?
모바일OTP는 기존의 보안매체(보안카드, 실물 OTP)와 동일합니다.
이체(출금/고), 대체(출금/고), 공동인증서 발급 등 기존의 보안카드와 실물OTP를 이용하는 모든 업무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타금융기관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미래에셋증권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MIRAE ASSET [ISA]ISA 중개형 상품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비대면 개설도 가능한가요?
ISA중개형 상품은 2021년 3월 21일부터 가입 가능한 상품으로 비대면 계좌개설 및 서류 지참 당사 지점으로 내점시 계좌개설 가능합니다.
상품에 대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식투자 가능한「중개형」:
- 국내 상장주식[DR제외], 펀드, ETF, 리츠, 상장수익증권, ETN, 파생결합증권, RP 등
(투자 상품별 수수료 및 보수 적용)
- 단, ‘국내 상장주식’은 중개형 ISA, ‘예금’은 신탁형 ISA만 투자 가능
- 주식매매 : 내점 / HTS(Kairos) / MTS(m.stock) / 홈페이지(WTS) 가능
■ 비대면 ISA중개형 다이렉트 계좌의 국내주식 온라인 거래 수수료 평생우대 적용2021년말까지 비대면 방식으로 관리점을 다이렉트로 선택해 개설된 중개형 ISA의 온라인 거래 위탁 수수료는 평생 유관기관수수료 0.0036396%만 적용[수시변경가능](단, 영업점 개설시 영업점 수수료 적용)]
■ 의무가입기간 : 3년
- 세제혜택 가능한 최소기간으로 과세이연 후 해지 시 세제혜택 부여
- 만기는 3년이상 가입자가 자유롭게 지정 가능
■ 세제혜택 : ISA 내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 통산한 과세대상 소득에 대해 최대 400만원 비과세 및 초과분 9.9%(지방소득세 포함) 분리과세
- 비과세한도 : 서민형·농어민형 400만원 / 일반형 200만원
■ 손익통산대상 과세대상 이자·배당소득 및 (ISA중개형)주식 등의 양도차손*
- 계좌 내 보유상품에서 손실 발생 시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음 (단, 국내주식형 펀드·ETF 내 국내상장주식에서 발생한 손실 제외)
MIRAE ASSET [로그인_영상] 인증서 유효기간연장(갱신)하라고 나오는데 비밀번호 입력이 안되네요?
PC에서 인증서 연장 진행하실 때, 연장 할 인증서를 선택하는 인증서검색 팝업창에서 연장할 인증서를 선택 후 별도 인증서비밀번호 입력 없이 화면 하단 '확인'을 눌러주세요. 다음 단계에서 인증서 비밀번호를 입력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사용하셨던 인증서 비밀번호를 새롭게 변경하고자 할 경우 화면 하단 인증서 비밀번호를 변경에 V 체크하여 신규 인증서비밀번호와 인증서비밀번호(확인) 칸을 동일하게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인증서의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1년이고, 유효기간연장(갱신)은 만료일 30일전부터 하실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이 만료일 이후에는 연장이 불가능하므로 다시 인증서 발급/재발급으로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 공동인증서 유효기간 연장 화면경로
- PC 홈페이지 : 화면 상단 > 공동인증/OTP > 인증서 유효기간 연장
- KAIROS HTS : 로그인 화면 하단 > 공동인증/OTP > 인증서 유효기간 연장
- m.Stock : 메뉴三 > 인증/OTP > 공동인증서 > 공동인증서 관리 > 유효기간 연장
- m.ALL : 메뉴 三 > 전체메뉴 > 고객지원 > 인증/OTP > 공동인증서 > 공동인증서 관리 > 유효기간 연장
- m.Global : 메뉴 三 > 인증/OTP >공동인증서 > 공동인증서 관리 > 유효기간 연장
■ 유의사항
- 스마트폰에서는 증권전용 공동인증서만 유효기간연장 가능하여 기존에 범용 공동인증서 사용자의 경우 번거로우시더라도 당사 홈페이지에서 유효기간 연장 후 스마트폰으로 인증서 내보내기하여 이용이 가능합니다.
MIRAE ASSET [로그인_영상] 다른 금융기관 인증서로는 로그인이 안되나요?
타증권사에서 발급 받은 공동인증서 또는 은행에서 수수료(4,400원) 납부하고 발급 받은 범용 공동인증서가 사용하실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타기관 인증서 등록 이후 로그인 가능합니다.
■ 타기관 인증서 등록하기 화면경로 (SMS/ARS 등의 추가 본인인증 및 보안매체 필요)
- PC 홈페이지 : 화면 상단 > 공동인증/OTP > 타기관 인증서 등록
- KAIROS HTS : 로그인 화면 하단 > 공동인증/OTP > 타기관 인증서 등록
- m.Stock : 메뉴三 > 인증/OTP > 공동인증서 > 타기관 인증서 등록하기
- m.ALL : 메뉴 三 > 전체메뉴 > 고객지원 > 인증/OTP > 공동인증서 > 타기관 인증서 등록하기
- m.Global : 메뉴 三 > 인증/OTP >공동인증서 > 타기관 인증서 등록하기
■ 유의사항
- 등록하고자 하는 공동인증서가 반드시 사용하실 매체 PC나 휴대폰 내에 인증서 저장되어 있어야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은행 전용 인증서의 경우 사용 등록이 불가능 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금 개시 후에도 펀드교체가 가능한가요?
연금개시 신청 이후에도 펀드 교체가 가능합니다.
다만 연금지급과 관련하여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연금지급 예상일자에 맞춰 매도계획을 세울 때 1순위 지정종목과는 상관없이, 보유잔고 중 가장 긴 환매일수를 기준으로 매도계획이 생성되는데, 이 매도계획이 생성되기 전에 더 긴 환매기간을 필요로 하는 펀드로 전환 교체하게 되면 연금 지급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유의하셔야 합니다. (현재부터 차기 연금지급 예정일까지의 기간이 교체한 펀드의 환매기간보다 짧을 경우)
또한 연금지급을 위한 펀드의 환매 순서는 원하는 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미지정한 경우는 보유비율대로 환매가 진행됩니다.
이 경우 환매 수수료가 있는 펀드 역시 비율 매도가 이루어지므로 환매수수료가 있는 펀드 보유 시에는 환매 순서를 미리 지정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 ETF는 보유비율 환매 대상이 아니므로 계좌에 ETF만 보유한 경우에는 연금지급 오류가 발생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2001년 이전 가입할 수 있던 구개인연금저축에 대해 알고 싶어요.
조세특례제한법 제 86조에 따라 1994년 6월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 가입이 가능했던 상품으로, 납입 시 소득공제 혜택과 5년 이상 연금 수령 시 비과세 혜택을 동시에 갖고 있는 개인연금 상품입니다.
2001년 이후 판매가 중단되어 현재는 신규 가입이 불가하며, 신규 개설은 기존계좌를 수관하는 목적으로만 가능합니다.
이 상품은 분기별 최대 3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한 상품이며, 소득공제는 180만원을 납입했을 때 납입금액의 40%로 연간 최대 72만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금계좌에서 연금을 수령하다가 중단할 수도 있나요?
네, 당사 연금계좌는 연금을 수령하다가 중단을 할 수도 있고, 재개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연금수령계좌 / 수령방법 / 수령금액 / 수령주기 / 연금지급을 위한 상품매도 순서를 정정할 수도 있습니다.
MIRAE ASSET [퇴직연금] 퇴직연금 수수료가 궁금합니다.
■ 퇴직연금 수수료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 연금자산 → 사업자공시 → 운용/자산관리 수수료
MIRAE ASSET [퇴직연금] IRP계좌에서 연금은 어떻게 수령하나요?
퇴직연금 IRP계좌에서 연금을 수령하는 방법으로는 '기간지정 / 금액지정 / 연금수령한도 방식 / 비정기연금'이 있습니다.
① '기간 지정' : 원하는 수령기간을 지정
② '금액 지정' : 수령할 연금액을 지정
③ '연금수령한도' : 매년 연금수령한도만큼 수령, 연금수령연차 6년차 초과자는 선택 불가
④ '비정기연금' : 필요금액만큼 임의로 자유롭게 수령하는 방식
MIRAE ASSET [퇴직연금] 연금개시 후에도 상품을 계속 운용할 수 있나요? 연금지급 매도순위는 어떻게 되나요?
퇴직연금 연금개시 후에도 상품을 계속 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연금 수령 중에도 상품 교체가 가능하고, 여러 상품으로 운용중인 경우 연금지급을 위한 매도순위 지정도 가능합니다.
만약 매도 순위를 미지정한 경우, 운용관리계약서 부속협정서 제 4조에 의한 순서대로 매도순위가 자동지정됩니다.
■ 매도 순위 : 현금성자산 → 원리금보장상품(저금리에서 고금리 순) → 펀드 등
※ ETF는 자동 매도가 불가하므로 연금 지급 시 직접 매도해주셔야 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금계좌에서 연금 수령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연금저축계좌에서 연금을 수령하는 방법으로는 '한도분할식 / 정액식 / 기간분할식(연간일정) / 기간분할식(금액변동) / 임의식'이 있습니다.
① '한도분할식' : 매년 계산되는 연금수령한도만큼 수령
② '정액식' : 원하는 수령금액(세전금액/세후금액 선택)을 지정, 운용성과에 따라 수령기간이 변경
③ '기간분할식' : 원하는 수령기간을 지정, 운용성과에 따라 수령금액이 변경
"기간분할식(연간금액일정)" : 매년 초 평가금액을 잔여회차로 나누어 연간 수령금액을 일정하게함
"기간분할식(연간금액변동)" : 매 회차 지급 시점 평가금액을 잔여회차로 나누어 수령
④ '임의식' : 필요할 때 자유롭게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MIRAE ASSET [계좌찾기] 미래에셋증권에 있는 계좌번호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확인방법 알려주세요.
계좌번호 찾기는 온라인 매체(m.Stock,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인증(휴대폰)으로 계좌번호를 찾을 수 있습니다.
■ 매체별 계좌번호 찾기 경로
- m.Stock : 왼쪽 하단 三 선택 > 모바일지점 > ID/계좌관리 > 계좌번호 찾기
- 홈페이지 : 서비스 신청/변경 > 계좌개설/ID > 계좌번호 찾기
※ 주의사항
- 본인명의 [휴대전화만 인증]가능합니다.
- 최근 계좌개설일자 기준으로 20개까지 제공됩니다.
- 활용계좌에 한하여 보여집니다.(폐쇄 및 통합계좌는 제외/장기미사용계좌 포함)
- 모바일앱, 홈페이지 로그인 고객은 자산조회(계좌별잔고) 화면에서도 계좌번호 확인이 가능합니다.
- 계좌번호 찾기 결과는 계좌에 등록된 휴대폰 번호로 발송됩니다.
MIRAE ASSET [퇴직연금] 연금저축/IRP로 퇴직금 수령해서 연금수령 시 연간 1,200만원 초과하면 종합과세되나요?
퇴직금을 연금계좌로 입금하여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종합과세가 되는 재원은 입금한 퇴직금에서 발생한 운용수익만 해당됩니다.
퇴직금(원금)은 일시금으로 수령하건, 연금으로 수령하건 무조건 분리과세 되기 때문에 1,200만원을 초과하여 수령해도 종합과세 되지 않습니다.
다만, 인출 순서에 따라 퇴직금 원금이 먼저 인출되고 전액 인출되면 운용수익이 인출되는데, 이 운용수익으로 수령한 세전금액이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하면 전액 종합과세 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간 연금수령액이 1,200만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과세대상이 되나요?
전 금융권 사적연금(IRP/연금저축)을 통해 받는 연금수령 재원이 세액공제 받은 금액 및 운용수익이라면 연간 연금수령액 세전 1,200만원 초과 시 인출한 금액 전액이 종합과세 됩니다.
이 1,200만원을 계산할 때는 퇴직금 재원이나 2001년 이전 가입한 구개인연금저축,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 공적연금 수령액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금수령한도가 무엇인가요?
연금수령한도란, 연금소득으로 인정되는 금액을 말하는데 이는 연금개시 후 인출할 수 있는 한도가 아니라, 연금수령이냐 연금외수령이냐를 구분하기 위한 한도이므로 인출 금액의 제한은 없습니다.
연금수령금액 = 계좌 평가금액 / (11-연금수령연차) x 120%
연금 수령한도는 최소 10년 이상은 분할하여 수령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간접적으로 계산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연금개시 신청을 하지 않았어도 연금개시 요건을 갖추면 자동으로 계산을 시작하고 연도 경과에 따라 연금수령연차는 자동 누적됩니다.
※ 다만, 연금수령한도까지만 연금소득세로 적용받을 수 있고, 연금수령 한도를 넘어가는 금액을 인출하시면 재원에 따라 기타소득세 또는 퇴직소득세가 적용 됩니다. 또한, 세액공제 받은 원금과 운용이익으로 전 금융권에서 연간 연금을 수령하는 금액이 1,200만원이 넘어가면 전체가 종합소득과세 대상으로 포함되오니 유의 하셔야 합니다.
MIRAE ASSET [계좌개설] 계좌개설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계좌개설 방법에는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계좌개설 방법과 영업점 방문 또는 제휴은행에 방문 계좌개설이 있습니다.
■ 비대면 계좌개설
- 계좌 유형 : 주식, CMA, 개인연금(신규/이전), 퇴직연금(개인형IRP), 선물옵션, 해외파생상품, 중개형ISA(일반형)
- 개설방법 : m.ALL : (메인화면) 계좌만들기 > (화면하단) 계죄개설시작
- 이용 가능 고객 : 국내 거주 개인 고객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 외국인, 재외국민, 대리인 등 개설 불가)
- 개설 가능 시간 : 24시간 365일 (시스템 점검 시간에는 신청 불가)
- 필요 서류 :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영업점 내방 계좌개설
- 계좌 유형 : 모든 유형
- 이용 가능 고객 : 본인, 대리인, 법인
- 개설 가능 시간 : 영업일 8:30 ~ 16:00 (영업점 마감시간에 따라 상이)
- 필요 서류 : 본인의 경우 실명확인증표, 등록예정인감(서명)
※ 자세한 필요서류 문의는 방문 전에 해당 영업점에 반드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제휴은행 내방 계좌개설
- 제휴 은행 : 경남, 광주, 국민, 기업, 농협(단위농협 개설 불가), 대구, 부산, 산업, 새마을, 신한, 씨티, 우리, 우체국, 전북, 하나, SC제일 총 16개 은행
- 계좌 유형 : 주식, 금융상품(신한, 농협, 광주은행은 불가능), 선물옵션(농협은 불가능), 해외선물옵션(국민, 우리은행만 가능)
- 이용 가능 고객 : 국내 거주 개인 고객
(대리인개설불가,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 외국인, 법인계좌개설불가)
- 개설 가능 시간 : 영업일 9:00 ~ 16:00 (영업점 마감시간에 따라 상이)
- 필요 서류 : 실명확인증표, 등록예정인감(서명)
※ 은행에 따라 필요서류가 다르므로 방문 전에 해당 은행에 반드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MIRAE ASSET [로그인_영상] 주문이나 출금하려는데 계좌비밀번호 5회 틀렸습니다. 재설정 어떻게 하나요?
계좌비밀번호를 모르시거나 5회 이상 오입력으로 사고등록 된 경우 당사 영업점 방문 또는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재등록 가능합니다.
■ 온라인에서 계좌비밀번호 재등록 화면경로
- PC 홈페이지: 서비스신청/변경 > 고객정보관리 > 계좌비밀번호 재등록/변경 > 계좌비밀번호 재등록
- m.Stock: 메뉴 三 > 모바일지점 > ID/계좌관리 > 계좌비밀번호 재등록
- KAIROS HTS: 온라인센터 > 개인정보/계좌/ID관리 > [0954] 계좌비밀번호 재등록
■ 유의사항
- 반드시 공동인증 or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이 후 재등록 가능합니다.
- 보안카드 or OTP or 모바일OTP와 같은 보안매체 정보가 필요하므로 사전에 등록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 본인 여부 확인을 위한 추가인증(휴대폰 인증 or ARS 인증)이 필요하여 본인명의 휴대폰 또는 수신 가능한 연락처가 사전에 계좌정보로 정상 등록되어야 합니다.
- 재등록 시 연속숫자/동일숫자/주민번호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이전(3회) 시용한 비밀번호가 아닌 숫자 4자리로 지정 가능합니다.
■ 영업점 내점 시 필요서류 안내
- 개인(본인): 실명확인증표, 등록인감(서명)
- 대리인: 본인 실명확인증표, 등록인감, 대리인실명확인증표, 인감증명서, 위임장(인감증명서 인감날인)
* 실명확인증표: 주민등록증, 신규 운전면허증
* 미성년계좌의 경우(서류추가): 미성년자 기본증명서([상세] 또는 [특정_친권·후견]지정)_최근 3개월 이내 발급
* 영업점 내점 시 업무처리 가능 시간은 오전 8:30 ~ 오후 4:00이며 영업점에 따라 상이 할 수 있으니 내방전에 확인 부탁드립니다.
츨처 MIRAE ASSET 자주하는 질문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board/message/list.do?categoryId=1296
휴대폰 기기 변경 시 새로운 휴대폰에서 기존 모바일OTP 이용은 불가능 합니다.
새 휴대폰 기기에서 다시 발급하신 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MIRAE ASSET [OTP/모바일OTP] 모바일OTP는 어떤 경우에 사용 하나요?
모바일OTP는 기존의 보안매체(보안카드, 실물 OTP)와 동일합니다.
이체(출금/고), 대체(출금/고), 공동인증서 발급 등 기존의 보안카드와 실물OTP를 이용하는 모든 업무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타금융기관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미래에셋증권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MIRAE ASSET [ISA]ISA 중개형 상품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비대면 개설도 가능한가요?
ISA중개형 상품은 2021년 3월 21일부터 가입 가능한 상품으로 비대면 계좌개설 및 서류 지참 당사 지점으로 내점시 계좌개설 가능합니다.
상품에 대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식투자 가능한「중개형」:
- 국내 상장주식[DR제외], 펀드, ETF, 리츠, 상장수익증권, ETN, 파생결합증권, RP 등
(투자 상품별 수수료 및 보수 적용)
- 단, ‘국내 상장주식’은 중개형 ISA, ‘예금’은 신탁형 ISA만 투자 가능
- 주식매매 : 내점 / HTS(Kairos) / MTS(m.stock) / 홈페이지(WTS) 가능
■ 비대면 ISA중개형 다이렉트 계좌의 국내주식 온라인 거래 수수료 평생우대 적용2021년말까지 비대면 방식으로 관리점을 다이렉트로 선택해 개설된 중개형 ISA의 온라인 거래 위탁 수수료는 평생 유관기관수수료 0.0036396%만 적용[수시변경가능](단, 영업점 개설시 영업점 수수료 적용)]
■ 의무가입기간 : 3년
- 세제혜택 가능한 최소기간으로 과세이연 후 해지 시 세제혜택 부여
- 만기는 3년이상 가입자가 자유롭게 지정 가능
■ 세제혜택 : ISA 내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 통산한 과세대상 소득에 대해 최대 400만원 비과세 및 초과분 9.9%(지방소득세 포함) 분리과세
- 비과세한도 : 서민형·농어민형 400만원 / 일반형 200만원
■ 손익통산대상 과세대상 이자·배당소득 및 (ISA중개형)주식 등의 양도차손*
- 계좌 내 보유상품에서 손실 발생 시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음 (단, 국내주식형 펀드·ETF 내 국내상장주식에서 발생한 손실 제외)
MIRAE ASSET [로그인_영상] 인증서 유효기간연장(갱신)하라고 나오는데 비밀번호 입력이 안되네요?
PC에서 인증서 연장 진행하실 때, 연장 할 인증서를 선택하는 인증서검색 팝업창에서 연장할 인증서를 선택 후 별도 인증서비밀번호 입력 없이 화면 하단 '확인'을 눌러주세요. 다음 단계에서 인증서 비밀번호를 입력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사용하셨던 인증서 비밀번호를 새롭게 변경하고자 할 경우 화면 하단 인증서 비밀번호를 변경에 V 체크하여 신규 인증서비밀번호와 인증서비밀번호(확인) 칸을 동일하게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인증서의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1년이고, 유효기간연장(갱신)은 만료일 30일전부터 하실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이 만료일 이후에는 연장이 불가능하므로 다시 인증서 발급/재발급으로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 공동인증서 유효기간 연장 화면경로
- PC 홈페이지 : 화면 상단 > 공동인증/OTP > 인증서 유효기간 연장
- KAIROS HTS : 로그인 화면 하단 > 공동인증/OTP > 인증서 유효기간 연장
- m.Stock : 메뉴三 > 인증/OTP > 공동인증서 > 공동인증서 관리 > 유효기간 연장
- m.ALL : 메뉴 三 > 전체메뉴 > 고객지원 > 인증/OTP > 공동인증서 > 공동인증서 관리 > 유효기간 연장
- m.Global : 메뉴 三 > 인증/OTP >공동인증서 > 공동인증서 관리 > 유효기간 연장
■ 유의사항
- 스마트폰에서는 증권전용 공동인증서만 유효기간연장 가능하여 기존에 범용 공동인증서 사용자의 경우 번거로우시더라도 당사 홈페이지에서 유효기간 연장 후 스마트폰으로 인증서 내보내기하여 이용이 가능합니다.
MIRAE ASSET [로그인_영상] 다른 금융기관 인증서로는 로그인이 안되나요?
타증권사에서 발급 받은 공동인증서 또는 은행에서 수수료(4,400원) 납부하고 발급 받은 범용 공동인증서가 사용하실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타기관 인증서 등록 이후 로그인 가능합니다.
■ 타기관 인증서 등록하기 화면경로 (SMS/ARS 등의 추가 본인인증 및 보안매체 필요)
- PC 홈페이지 : 화면 상단 > 공동인증/OTP > 타기관 인증서 등록
- KAIROS HTS : 로그인 화면 하단 > 공동인증/OTP > 타기관 인증서 등록
- m.Stock : 메뉴三 > 인증/OTP > 공동인증서 > 타기관 인증서 등록하기
- m.ALL : 메뉴 三 > 전체메뉴 > 고객지원 > 인증/OTP > 공동인증서 > 타기관 인증서 등록하기
- m.Global : 메뉴 三 > 인증/OTP >공동인증서 > 타기관 인증서 등록하기
■ 유의사항
- 등록하고자 하는 공동인증서가 반드시 사용하실 매체 PC나 휴대폰 내에 인증서 저장되어 있어야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은행 전용 인증서의 경우 사용 등록이 불가능 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금 개시 후에도 펀드교체가 가능한가요?
연금개시 신청 이후에도 펀드 교체가 가능합니다.
다만 연금지급과 관련하여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연금지급 예상일자에 맞춰 매도계획을 세울 때 1순위 지정종목과는 상관없이, 보유잔고 중 가장 긴 환매일수를 기준으로 매도계획이 생성되는데, 이 매도계획이 생성되기 전에 더 긴 환매기간을 필요로 하는 펀드로 전환 교체하게 되면 연금 지급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유의하셔야 합니다. (현재부터 차기 연금지급 예정일까지의 기간이 교체한 펀드의 환매기간보다 짧을 경우)
또한 연금지급을 위한 펀드의 환매 순서는 원하는 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미지정한 경우는 보유비율대로 환매가 진행됩니다.
이 경우 환매 수수료가 있는 펀드 역시 비율 매도가 이루어지므로 환매수수료가 있는 펀드 보유 시에는 환매 순서를 미리 지정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 ETF는 보유비율 환매 대상이 아니므로 계좌에 ETF만 보유한 경우에는 연금지급 오류가 발생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2001년 이전 가입할 수 있던 구개인연금저축에 대해 알고 싶어요.
조세특례제한법 제 86조에 따라 1994년 6월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 가입이 가능했던 상품으로, 납입 시 소득공제 혜택과 5년 이상 연금 수령 시 비과세 혜택을 동시에 갖고 있는 개인연금 상품입니다.
2001년 이후 판매가 중단되어 현재는 신규 가입이 불가하며, 신규 개설은 기존계좌를 수관하는 목적으로만 가능합니다.
이 상품은 분기별 최대 3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한 상품이며, 소득공제는 180만원을 납입했을 때 납입금액의 40%로 연간 최대 72만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금계좌에서 연금을 수령하다가 중단할 수도 있나요?
네, 당사 연금계좌는 연금을 수령하다가 중단을 할 수도 있고, 재개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연금수령계좌 / 수령방법 / 수령금액 / 수령주기 / 연금지급을 위한 상품매도 순서를 정정할 수도 있습니다.
MIRAE ASSET [퇴직연금] 퇴직연금 수수료가 궁금합니다.
■ 퇴직연금 수수료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 연금자산 → 사업자공시 → 운용/자산관리 수수료
MIRAE ASSET [퇴직연금] IRP계좌에서 연금은 어떻게 수령하나요?
퇴직연금 IRP계좌에서 연금을 수령하는 방법으로는 '기간지정 / 금액지정 / 연금수령한도 방식 / 비정기연금'이 있습니다.
① '기간 지정' : 원하는 수령기간을 지정
② '금액 지정' : 수령할 연금액을 지정
③ '연금수령한도' : 매년 연금수령한도만큼 수령, 연금수령연차 6년차 초과자는 선택 불가
④ '비정기연금' : 필요금액만큼 임의로 자유롭게 수령하는 방식
MIRAE ASSET [퇴직연금] 연금개시 후에도 상품을 계속 운용할 수 있나요? 연금지급 매도순위는 어떻게 되나요?
퇴직연금 연금개시 후에도 상품을 계속 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연금 수령 중에도 상품 교체가 가능하고, 여러 상품으로 운용중인 경우 연금지급을 위한 매도순위 지정도 가능합니다.
만약 매도 순위를 미지정한 경우, 운용관리계약서 부속협정서 제 4조에 의한 순서대로 매도순위가 자동지정됩니다.
■ 매도 순위 : 현금성자산 → 원리금보장상품(저금리에서 고금리 순) → 펀드 등
※ ETF는 자동 매도가 불가하므로 연금 지급 시 직접 매도해주셔야 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금계좌에서 연금 수령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연금저축계좌에서 연금을 수령하는 방법으로는 '한도분할식 / 정액식 / 기간분할식(연간일정) / 기간분할식(금액변동) / 임의식'이 있습니다.
① '한도분할식' : 매년 계산되는 연금수령한도만큼 수령
② '정액식' : 원하는 수령금액(세전금액/세후금액 선택)을 지정, 운용성과에 따라 수령기간이 변경
③ '기간분할식' : 원하는 수령기간을 지정, 운용성과에 따라 수령금액이 변경
"기간분할식(연간금액일정)" : 매년 초 평가금액을 잔여회차로 나누어 연간 수령금액을 일정하게함
"기간분할식(연간금액변동)" : 매 회차 지급 시점 평가금액을 잔여회차로 나누어 수령
④ '임의식' : 필요할 때 자유롭게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MIRAE ASSET [계좌찾기] 미래에셋증권에 있는 계좌번호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확인방법 알려주세요.
계좌번호 찾기는 온라인 매체(m.Stock,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인증(휴대폰)으로 계좌번호를 찾을 수 있습니다.
■ 매체별 계좌번호 찾기 경로
- m.Stock : 왼쪽 하단 三 선택 > 모바일지점 > ID/계좌관리 > 계좌번호 찾기
- 홈페이지 : 서비스 신청/변경 > 계좌개설/ID > 계좌번호 찾기
※ 주의사항
- 본인명의 [휴대전화만 인증]가능합니다.
- 최근 계좌개설일자 기준으로 20개까지 제공됩니다.
- 활용계좌에 한하여 보여집니다.(폐쇄 및 통합계좌는 제외/장기미사용계좌 포함)
- 모바일앱, 홈페이지 로그인 고객은 자산조회(계좌별잔고) 화면에서도 계좌번호 확인이 가능합니다.
- 계좌번호 찾기 결과는 계좌에 등록된 휴대폰 번호로 발송됩니다.
MIRAE ASSET [퇴직연금] 연금저축/IRP로 퇴직금 수령해서 연금수령 시 연간 1,200만원 초과하면 종합과세되나요?
퇴직금을 연금계좌로 입금하여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종합과세가 되는 재원은 입금한 퇴직금에서 발생한 운용수익만 해당됩니다.
퇴직금(원금)은 일시금으로 수령하건, 연금으로 수령하건 무조건 분리과세 되기 때문에 1,200만원을 초과하여 수령해도 종합과세 되지 않습니다.
다만, 인출 순서에 따라 퇴직금 원금이 먼저 인출되고 전액 인출되면 운용수익이 인출되는데, 이 운용수익으로 수령한 세전금액이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하면 전액 종합과세 됩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간 연금수령액이 1,200만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과세대상이 되나요?
전 금융권 사적연금(IRP/연금저축)을 통해 받는 연금수령 재원이 세액공제 받은 금액 및 운용수익이라면 연간 연금수령액 세전 1,200만원 초과 시 인출한 금액 전액이 종합과세 됩니다.
이 1,200만원을 계산할 때는 퇴직금 재원이나 2001년 이전 가입한 구개인연금저축,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 공적연금 수령액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MIRAE ASSET [개인연금] 연금수령한도가 무엇인가요?
연금수령한도란, 연금소득으로 인정되는 금액을 말하는데 이는 연금개시 후 인출할 수 있는 한도가 아니라, 연금수령이냐 연금외수령이냐를 구분하기 위한 한도이므로 인출 금액의 제한은 없습니다.
연금수령금액 = 계좌 평가금액 / (11-연금수령연차) x 120%
연금 수령한도는 최소 10년 이상은 분할하여 수령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간접적으로 계산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연금개시 신청을 하지 않았어도 연금개시 요건을 갖추면 자동으로 계산을 시작하고 연도 경과에 따라 연금수령연차는 자동 누적됩니다.
※ 다만, 연금수령한도까지만 연금소득세로 적용받을 수 있고, 연금수령 한도를 넘어가는 금액을 인출하시면 재원에 따라 기타소득세 또는 퇴직소득세가 적용 됩니다. 또한, 세액공제 받은 원금과 운용이익으로 전 금융권에서 연간 연금을 수령하는 금액이 1,200만원이 넘어가면 전체가 종합소득과세 대상으로 포함되오니 유의 하셔야 합니다.
MIRAE ASSET [계좌개설] 계좌개설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계좌개설 방법에는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계좌개설 방법과 영업점 방문 또는 제휴은행에 방문 계좌개설이 있습니다.
■ 비대면 계좌개설
- 계좌 유형 : 주식, CMA, 개인연금(신규/이전), 퇴직연금(개인형IRP), 선물옵션, 해외파생상품, 중개형ISA(일반형)
- 개설방법 : m.ALL : (메인화면) 계좌만들기 > (화면하단) 계죄개설시작
- 이용 가능 고객 : 국내 거주 개인 고객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 외국인, 재외국민, 대리인 등 개설 불가)
- 개설 가능 시간 : 24시간 365일 (시스템 점검 시간에는 신청 불가)
- 필요 서류 :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영업점 내방 계좌개설
- 계좌 유형 : 모든 유형
- 이용 가능 고객 : 본인, 대리인, 법인
- 개설 가능 시간 : 영업일 8:30 ~ 16:00 (영업점 마감시간에 따라 상이)
- 필요 서류 : 본인의 경우 실명확인증표, 등록예정인감(서명)
※ 자세한 필요서류 문의는 방문 전에 해당 영업점에 반드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제휴은행 내방 계좌개설
- 제휴 은행 : 경남, 광주, 국민, 기업, 농협(단위농협 개설 불가), 대구, 부산, 산업, 새마을, 신한, 씨티, 우리, 우체국, 전북, 하나, SC제일 총 16개 은행
- 계좌 유형 : 주식, 금융상품(신한, 농협, 광주은행은 불가능), 선물옵션(농협은 불가능), 해외선물옵션(국민, 우리은행만 가능)
- 이용 가능 고객 : 국내 거주 개인 고객
(대리인개설불가,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 외국인, 법인계좌개설불가)
- 개설 가능 시간 : 영업일 9:00 ~ 16:00 (영업점 마감시간에 따라 상이)
- 필요 서류 : 실명확인증표, 등록예정인감(서명)
※ 은행에 따라 필요서류가 다르므로 방문 전에 해당 은행에 반드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MIRAE ASSET [로그인_영상] 주문이나 출금하려는데 계좌비밀번호 5회 틀렸습니다. 재설정 어떻게 하나요?
계좌비밀번호를 모르시거나 5회 이상 오입력으로 사고등록 된 경우 당사 영업점 방문 또는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재등록 가능합니다.
■ 온라인에서 계좌비밀번호 재등록 화면경로
- PC 홈페이지: 서비스신청/변경 > 고객정보관리 > 계좌비밀번호 재등록/변경 > 계좌비밀번호 재등록
- m.Stock: 메뉴 三 > 모바일지점 > ID/계좌관리 > 계좌비밀번호 재등록
- KAIROS HTS: 온라인센터 > 개인정보/계좌/ID관리 > [0954] 계좌비밀번호 재등록
■ 유의사항
- 반드시 공동인증 or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이 후 재등록 가능합니다.
- 보안카드 or OTP or 모바일OTP와 같은 보안매체 정보가 필요하므로 사전에 등록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 본인 여부 확인을 위한 추가인증(휴대폰 인증 or ARS 인증)이 필요하여 본인명의 휴대폰 또는 수신 가능한 연락처가 사전에 계좌정보로 정상 등록되어야 합니다.
- 재등록 시 연속숫자/동일숫자/주민번호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이전(3회) 시용한 비밀번호가 아닌 숫자 4자리로 지정 가능합니다.
■ 영업점 내점 시 필요서류 안내
- 개인(본인): 실명확인증표, 등록인감(서명)
- 대리인: 본인 실명확인증표, 등록인감, 대리인실명확인증표, 인감증명서, 위임장(인감증명서 인감날인)
* 실명확인증표: 주민등록증, 신규 운전면허증
* 미성년계좌의 경우(서류추가): 미성년자 기본증명서([상세] 또는 [특정_친권·후견]지정)_최근 3개월 이내 발급
* 영업점 내점 시 업무처리 가능 시간은 오전 8:30 ~ 오후 4:00이며 영업점에 따라 상이 할 수 있으니 내방전에 확인 부탁드립니다.
츨처 MIRAE ASSET 자주하는 질문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board/message/list.do?categoryId=1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