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 [CFD국내주식 FAQ] CFD 계좌는 누구나 개설 할 수 있나요?

키움증권 [CFD국내주식] CFD 계좌는 누구나 개설 할 수 있나요?
CFD주식은 고위험 상품으로 '전문투자자'이신 분만 계좌 개설 및 거래가능합니다.



키움증권 [CFD국내주식] 보유중인 현물 주식을 CFD주식 계좌로 옮길 수 있나요?

CFD주식은 실물을 보유하지 않고 차액만 결제하는 파생상품으로 현물 주식을 CFD계좌에 입고 하실 수 없습니다.



키움증권 [CFD국내주식] 같은 종목을 양방향(매수,매도)으로 동시 보유 할 수 있나요?

네, 같은 종목을 양방향으로 동시 보유 가능합니다.



키움증권 [CFD국내주식] 종목별 권리 이슈 발생 시 권리행사 처리 가능한가요?

CFD주식의 모든 권리는 중개사에 있습니다. 다만, 현금, 주식 배당의 경우 처리 해드리고 있으며 기타(유/무상 증자, 합병, 분할 등) 권리 이슈 발생 시 해당 종목은 기준일 3일 전부터 전량 리콜 됩니다.(*배당 권리 처리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현지 중계사 사정에 의해 불가 할 수 있습니다.)



키움증권 [CFD국내주식] CFD주식은 외화(USD)로 환전 후 거래해야 하나요?
원화거래를 지원합니다. 국내 현물 주식거래와 동일하게 원화 입금 후 거래 가능합니다.




키움증권 [펀드] 임의식으로 가입했는데, 적립식으로 변경 할 수있나요?
펀드 가입후 유형변경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임의식으로 가입하셨다가 적립식 펀드로 변경을 원하실 경우 동일한 펀드로 적립식으로 신규 가입해주시기 바랍니다.



키움증권 [펀드] 기준가와 과세기준가의 차이는 뭔가요? 기준가 계산은 어떻게 계산 되나요?
기준가는 펀드에 가입하고 출금할때 기준이되는 가격으로 펀드의 순 자산가치를 나타 냅니다. 펀드 운용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차감해 순자산 총액을 산출하고 그날 펀드의 총좌수로 나눠 기준가격을 산출합니다. 과세제기준가는 펀드 투자자에게 이자소득세나 배당소득세를 부과하기 위해 따로 산출하는 기준가격입니다.



키움증권 [펀드] 선취수수료가 있는 펀드가 있던데, 선취수수료가 뭐죠? 보수와는 틀린가요?
선취판매수수로는 펀드 판매사에서 펀드판매시 위험설명등을 해주는 대가로 받아가는 비용입니다. 펀드 가입시 일정비율을 지불하는 수수료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보수는 총 4가지의 보수가 존재합니다. 판매보수,사무수탁보수,일반사무관리보수,운용보수 펀드를 운용하는 각 금융기관이나 판매회사에 지불하는 운용수수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키움증권 [펀드] 펀드 가입시 임의식과 적립식의 차이는?

임의식은 저축은 저축기간 및 저축금액을 정하지 않고, 임의로 저축하는 방식으로서 수시로 저축금을 납입 또는 인출하여 수익증권을 매입또는 환매 할수 있는 저축입니다. 적립식의 경우 환매 수수료가 있는 펀드의 경우 만기 이후 환매에 대해서는 환매 수수료가 없습니다.



키움증권 [펀드] 펀드 환매시 세금이나 수수료가 부과 되나요?
환매시 세금은 국내펀드의 경우 배당/이자소득 이익금에대해 15.4%세금이 부과되며, 해외펀드는 매매차익과 배당/이자소득 이익금에 대해 15.4%부과 됩니다. 환매수수료는 펀드별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환매 전 따로 환매수수료 발생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출처: 키움증권  많이묻는 질문 https://www1.kiwoom.com/h/help/faq/VHelpGUIDSTCKFaqView
다음 이전